요즘 사내 메일함이나 뉴스에서
‘임금피크제 폐지’ 이야기, 자주 보이시죠?
하지만 혼란스러울 수도 있어요.
왜냐하면 2025년 6월 현재, 정부는 ‘전면 폐지’ 지침을 발표한 바 없기 때문이에요.
대신 정부는 계속고용 로드맵과
직무·성과 중심 임금체계 전환을 유도 중이에요.
즉, 임금피크제의 유지 또는 조정 여부는 기관과 노사가 협의해 결정하는 구조랍니다.
✅ 임금피크제란? 간단하게 짚고 갈게요
- 목적: 고령자의 고용을 보장하면서도 인건비를 줄이기 위한 장치
- 대상: 정년 60세인 공공기관과 일부 민간기업
- 적용 방식:
- 보통 만 55~58세 시점부터
- 임금의 10~30% 삭감 후 정년까지 지속
📌 예시
A 공사: 만 57세부터 기본급의 80%만 지급
🏛️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변화는?
구분 | 내용 |
❌ 전면 폐지 지침 | 없음 (2025년 6월 기준) |
✅ 검토 중 방향 | 계속고용 로드맵(정년 연장·재고용 등) + 직무·성과 중심 임금체계 전환 |
✅ 결정 권한 | 각 기관이 노사협의로 자율 결정 |
🔗 참고: 고용노동부 제도자료 바로가기
📌 임금피크제, 이미 폐지한 곳도 있나요?
2024년부터 일부 기관은
노사 합의로 임금피크제 적용을 중단하거나 예외 적용 중이에요.
📍 예시
- ○○공사: 만 57세 이후 삭감 없이 원급 유지
- △△연구원: 직무급 전환 후 피크제 적용 유보
하지만 공식적으로 ‘즉시 폐지된 기관’ 목록은 공개된 적 없기 때문에,
단정적으로 표현하기보다 “일부 기관은 피크제 미적용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” 정도로 표현하는 게 바람직해요.
👉 내 기관이 포함됐는지 확인하기:
💸 연봉에 어떤 변화가 생길 수 있을까요?
🔹 시뮬레이션 예시 (가정)
기본급 6,000만 원 / 임금피크율 20% / 정년 60세 기준
57세부터 3년간 20% 삭감 → 총 약 1,200만 원 감소
폐지 시 동일급 유지 → 연간 400만 원 × 3년 = 1,200만 원 보전 가능
📌 단, 이 수치는 가정 기준이에요.
실제 차이는 다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:
- 성과급 비율이 높은가?
- 직무급 체계로 전환되면 급여 테이블은 어떻게 바뀌나?
- 피크제 도입 시점과 삭감률은 몇 %였나?
🤝 승진·세대 갈등도 변화될까요?
임금피크제가 사라지면
퇴직 시점이 명확해져서 세대 갈등이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도 있어요.
하지만 이는 확정된 결과가 아닌 의견에 가까워요.
📌 예:
한국노동연구원(2024)의 공공기관 인사 운영 실태조사에서는
“정년 명확화가 세대 간 마찰 완화에 일부 기여”라는 의견도 있었답니다.
단정 표현보다는 완곡하게 서술하는 것이 정확해요😊
✅ 실무자용 체크리스트
항목 | 체크 내용 |
① | 우리 기관의 임금피크율(%), 적용 시점 확인 |
② | 최근 노사협의 결과 요약 확인 |
③ | 퇴직 예정 시점 조정 필요 여부 검토 |
④ | 퇴직금 평균임금 시뮬레이션 |
⑤ | 직무급 전환 시 임금 변화 시나리오 검토 |
📊 참고 자료 & 유용한 링크
📣 마무리 한 줄
임금피크제 폐지는 아직 제도적으로 ‘확정된 사실’이 아니에요!
하지만 변화의 흐름 속에서 나의 연봉과 정년, 퇴직금에 미치는 영향을
지금부터 꼼꼼히 준비해보는 게 가장 현명한 선택이랍니다😊
📎 해시태그
#임금피크제폐지논의 #공공기관연봉 #정년보장
#임금체계개편 #공공기관정책 #퇴직금계산법
#노사협의 #직무급제도 #계속고용로드맵 #2025정책브리핑
'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긴급생활비 지원금! 신청자격부터 지역별 링크까지 (1) | 2025.06.08 |
---|---|
건강검진·병원기록 앱 하나로! 2025 의료 마이데이터 사용법 (1) | 2025.06.07 |
[2025 경력단절 여성 복귀지원] 국비교육부터 채용연계까지 총정리 (5) | 2025.05.29 |
[2025 장애인연금] 누구까지 받을 수 있나? 조건·금액·신청법 완전정리 (2) | 2025.05.29 |
[고교 무상교육 팩트체크] 자사고도 등록금 안 낸다? 진실은? (2) | 2025.05.28 |